2026년 월드컵은 23번째로 열리는 FIFA 월드컵이며,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 월드컵입니다.
- 역대 2번째 공동 개최 월드컵
- 최초의 3개국 공동개최 월드컵
- 첫 본선 48개국 진출 체제로 진행되는 최초의 월드컵
기존의 32개국 월드컵에서는 4개팀씩 8개 조가 조별리그를 거쳐서 각 조 1~2위팀 총 16개팀이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. 48개국으로 참가국이 늘어난 2026년 월드컵은 4팀씩 12개 조가 조별리그를 거쳐서 각 조 1~2위팀 24개팀 + 각조의 3위팀 중 상위 8팀 총 32팀이 32강전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이렇게 48개국이 참가를 하면서 경기수가 104경기로 늘어 났습니다.
대륙별 본선 진출 배당
기존 32개국으로 진행된 월드컵에서는 유럽의 출전권이 13장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
나머지 대륙등은 3~5장을 배분 받는 형태였네요.
12장의 출전권이 늘어난 2026년 월드컵에서는 유럽외의 지역에 출전권이 많이 배분됐습니다.
아프리카가 9장으로 많아졌으며 아시아도 8장으로 두 대륙 모두 플레이오프를 고려하면 출전권이 2배가 됐다고 볼 수 있겠네요. 어찌보면 유럽을 제외한 모든 대륙이 수혜를 입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기존의 32개국을 진행된 월드컵에서도 유럽 및 남미국가들이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과 상위라운들 진출을 많이 했었는데요. 이렇게 48개국으로 늘어나면서 본선진출국들의 유럽국가들과 전력차이가 더 많이 나지 않을까 걱정을 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.
아시아 지역 예선
현재 아시아 지역은 2차예선을 진행중입니다.
4개팀씩 9개조 36개국이 팀탕 6경기씩의 리그전을 치르게 됩니다.
각조의 1위와 2위팀 총 18개국이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됩니다.
우리나라는 중국, 태국, 싱가포르와 한조이며 무난하게 3차예선에 진출할것으로 예상됩니다.
3차예선은 6개팀씩 3개조로 나뉘어 경기를 하며, 각조의 1,2위 총 6개팀은 본선에 직행을 하게됩니다.
각조의 3,4위팀 6개팀은 3개팀씩 2개조로 마지막 4차예선 조별리그를 하게 되며 각조의 1위팀 총 2개팀이 본선에 오르게 됩니다. 이 4차예선의 각 조 2위팀 중 승자는 미국에서 개최될 타 대륙 팀과의 대츌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를 해야 본선에 진출 하게되네요.
3차 예선에서 조1위 혹은 2위를 해서 본선진출을 확정 해 놓는게 가장 좋아보입니다. 1,2위를 못해서 4차예선까지 간다면 벼랑끝으로 몰려서 힘든 경기들이 예상되네요.
한국 2차예선 일정
한국의 2차 예선 일정입니다.
- 2023.11.16. 한국(홈) vs 싱가포르 5:0 승
- 2023.11.21. 중국(홈) vs 한국
- 2024.03.21. 한국(홈) vs 태국
- 2024.03.26. 태국(홈) vs 한국
- 2024.06.06. 싱가포르(홈) vs 한국
- 2024.06.11. 한국(홈) vs 중국
한국은 16일 열린 예선 첫경기에서 싱가포르를 상대로 5:0의 시원한 승리를 했습니다. 힘겨운 중국원정과 거친 경기가 예상되지만 중국원정도 승리를 하여 2연승으로 아시아 예선을 순조롭게 이어갔으면 좋겠네요.
'알쓸신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중간 순위 및 분석. [16강 진출 가능팀] #죽음의조#F조#파리생제르망#이강인 (1) | 2023.11.28 |
---|---|
K리그1&리그2 강등/승격 제도. 파이널 그룹(라운드) #승강플레이오프 (1) | 2023.11.26 |
2026년 북중미 월드컵, 남미예선 진행 방식 및 일정 [브라질의 부진] #풀리그#18경기#6위본선직행 (1) | 2023.11.24 |
K리그1 강등권 싸움. 수원삼성은 37라운드 슈퍼매치에서 절대 지면 안된다(FC서울). #파이널B그룹(라운드)#강원#수원FC (2) | 2023.11.24 |
한국전력(한전) 임금 체불 예정? [돈벌어서 채권이자도 못낸다] #자본#실적#블라인드#민영화? (0) | 2023.11.23 |
댓글